반응형

요약

  • 고전적인 Staking은 은행의 예금과 같으며, 만기 전까지는 돈을 쓸수도, 수익률을 최종적으로 알기도 어렵다.
  • Liquid Staking은 직접 활용해서 쓸 수 있는 예금과도 같다. 돈으로 돈을 쓰는 느낌이다.
  • Liquid Staking은 매우 위험한 자산으로 취급될 수 있기 때문에, 해결책으로 일부 다시 스테이킹하는 Liquid Restaking 개념이 구현되고 있다. 

Intro

  • DeFi 단원에서 간략하게 다루었던 스테이킹에 대해 기억하시나요? 블록체인 세상에서의 예금과 같은 개념이었습니다.
  • 이번 포스팅에서는 고전적인 스테이킹과는 좀 다른, 블록체인 커뮤니티에서 핵심적인 기능을 하는 Liquid Staking에 대해 알아봅시다

 

Staking vs Liquid Staking

    • 스테이킹(Staking) : 지분증명 암호화폐 보유에 대한 보상을 얻기 위한 전략입니다.
      • 구체적으로, PoS(Proof of Stake)를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의 기본 토큰을 스테이킹하여 네트워크의 트랜잭션을 검증하는 데 쓰입니다.
      • 쉽게 말해, 갖고 있는 코인을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돌아가는 데에 사용하도록 잠시 맡겨둡니다.(=은행에 돈을 맡기는 예금과 같습니다.)
      • 그러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거래 처리가 활발해지고, 우리들은 이에 기여한 것이 됩니다.
      • 은행에서 예금을 맡기면 이자를 주듯, 블록체인 네트워크도 우리들에게 이자를 붙여 코인을 나중에 돌려줍니다. 토큰을 잠그는 대가로 네트워크는 새로 발행된 토큰 형태로 보상을 제공하는 것이죠.
      •  

하지만, 스테이킹 기간동안 우리는 저희가 예치한 코인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

 

  • 유동성 스테이킹(Liquid Staking) : 고전적인 스테이킹과 달리 스테이킹 기간 동안 이미 스테이킹된 토큰에 액세스할 수 있는 스테이킹입니다.
    • 은행에 예금을 맡겼는데, 맡긴 예금 금액을 들고다닐 수 있는 개념입니다.
    • 전통적인 스테이킹에서는 토큰이 '스테이크'에 도달한 순간부터 만기까지 잠겨 있으며 이 기간 동안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켜보는 것 외에는 할 수 있는 일이 없습니다.
    • 그러나 유동 스테이킹을 사용하면 스테이킹 기간 동안에도 스테이킹한 코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어떻게 Liquid Staking이라는 개념이 성립할 수 있는 걸까?

  • 예금을 맡겼는데, 예금을 들고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다니, 이게 무슨 말일까요?
  • 결론부터 말하면, 유동 스테이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프로젝트가 따로 존재합니다. 해당 프로젝트의 블록체인에 토큰을 스테이킹하면 새로 발행된 유동 스테이킹 토큰(LST) 을 받게 됩니다.
  • LST은 원래 토큰처럼 똑같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DeFi 활동을 계속할 수 있게 합니다. 즉 Liquid Staking을 하면 LST를 확보하고, 다른 DeFi 프로토콜로 이동하여 이에 참여하고, 보상을 받고, 두 배의 수익으로 지갑을 채울 수 있습니다.
    • Lido 라는 프로젝트가 대표적으로 Liquid Staking을 지원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여기에 ETH(이더리움)을 맡기면 stETH라는 LST 형태를 다시 돌려받게 되는데, 이 토큰들을 갖고 Uniswap같은 다른 Defi 프로토콜에 사용하여 수익을 낼 수도 있습니다.
  • 현실세계를 예시로 저는 아래와 같이 이해했습니다.
    • 여러분들이 매우 좋은 직업을 갖고 있어서 OO은행이 당신에게 5억을 한번에 대출해주었다고 합시다.(보통은.. 5억 잘 안해주죠..)
    • 여러분은 OO은행에서 5억을 대출받고, 내가 이렇게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이다~ 라는 것을 증명서로 또 챙겼다고 합시다.
    • 이 증명서를 들고 가서 또다른 은행인 ()()은행에 찾아가 또 대출을 하는 것입니다. ()()은행은 여러분이 5억이나 대출받을 수 있는 능력이 있는 고객이구나~ 라는 것을 믿고 또 대출을 해주는 것입니다.

 

Liquid Staking 장점과 단점

  • 장점 : 자본 효율성, 유동성의 증가
    • 기존 스테이킹에서는 스테이킹 기간이 만료된 후에만 수익률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그러나 유동 스테이킹을 사용하면 DeFi 생태계와 다양한 프로토콜 전반에 걸쳐 LST를 사용하여 추가 수익(예: 캠페인 및 에어드롭 이벤트 참여 등을 활용)을 생성하여 포트폴리오를 보다 효율적으로 성장시킬 수 있습니다.
    • 또한 블록체인 생태계 전체에 걸쳐 토큰의 전반적인 유동성에도 기여하게 되는 것은 덤입니다.
  • 단점 : 스테이킹 하는 것 만큼 대우받지 못한다
    • 스테이킹 하는 사람들에게 보상을 주는 이유는 거래를 검증하는 데에 기여했다고 보고, 수수료를 떼주는 개념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유동성 스테이킹의 경우, 유동적 스테이킹 서비스 사용자는 본질적으로 검증인으로서의 책임을 아웃소싱하고 있기 때문에 직접 검증해서 거래 처리를 도와후는 스테이킹보다는 다소 책임이 약합니다.
    • 특히 PoS 네트워크에서 부적절하게 행동하거나 네트워크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못하는 검증인은 "삭감"될 수 있습니다. 이는 검증인이 스테이킹된 자산의 일부를 잃을 수 있는 페널티로 기능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서비스 제공자가 네트워크 규칙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자산이 삭감될 위험에 완전히 노출됩니다.(이것을 Slashing 이라고 부릅니다.)
    • LST 또한 새로운 토큰이기 때문에, 직접 스테이킹을 한 자산보다 더 유동성이 심합니다. 가격방어가 안된다는 말입니다.
    • 즉, LST의 가격이 기초자산의 가격보다 급격하게 하락할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하여 스테이킹된 자산의 만기 시 사용자에게 손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특히 LST의 가치는 기본 스테이킹 자산과 스테이킹 플랫폼의 특정 메커니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추가적인 복잡성과 위험도 발생합니다.

 

 

LRT(Liquid Restaking Tokens)의 탄생

  • 예금한 토큰들을 모두 이에 대응하는, 유동성 좋은 LST로 전부 돌려주니까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피할 수 없었다고 이해해봅시다.
  • 그러면, 이러한 위험성을 일부 극복하려면 모두 대응되는 만큼의 가치를 주는 것이 아니라, 유동성을 일부만 허락하게 주면 됩니다. 이러한 개념을 구현한 것이 바로 LRT(Liquid Restaking Tokens) 입니다.
  • 대표적 예시인 EigenLayer 프로젝트가 있습니다. 이것의 스마트 컨트랙트는 재스테이킹된 ETH 또는 LST를 사용하여 Actively Validated Services(AVS)를 유지하고, 이를 통해 오프체인 거래를 검증함으로써 분산형 신뢰 시장을 생성합니다.
    • Liquid Staking으로는 제대로된 거래 검증을 못한다고 했습니다. 이러한 취약성을 보완한다는 것입니다.
  • 이러한 특성때문에 LST보다는 변동성이 적게, risk가 덜한 방향으로 디파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