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요약
- step 1. 지갑 연결(Connect Wallet)
- step 2. Transfer를 선택 후, 브릿지할 토큰과 네트워크를 고른다.
- step 3. 이체할 금액(토큰)을 입력한다
- step 4. confirm transfer!
본문 : stargate.finance를 통한 실습
5절 2장에서는 stargate.finance/transfer 를 통해서 실습해보겠습니다. 준비물은 메타마스크 등의 Web3 지갑입니다.
- step 1. 지갑 연결(Connect Wallet)

연결하면 아래와 같이 활성화되고, 지갑 주소가 뜹니다.(저는 메타마스크 지갑을 연결했습니다.)

- step 2. Transfer를 선택 후, 브릿지할 토큰과 네트워크를 고른다.
브릿지할 토큰과 네트워크를 고릅니다. 저는 Base Mainnet에 있는 이더리움을 Ethereum Network Mainnet에 있는 이더리움으로 브릿지하는 것을 선택했습니다.

- step 3. 이체할 금액(토큰)을 입력한다
저는 0.001 ETH를 입력했습니다. 잔고에 0.001019ETH가 있으니 0.001ETH 브릿지하는 것이 가능할 줄 알았습니다만

not enough gas라고 나옵니다. 예전에 말씀드렸었던 것처럼, ETH는 gas fee가 비싸다고 했죠? 실제로 0.018307ETH가 필요하다고 나오네요. 비쌉니다 ㅠㅠ
- step 4. confirm
이렇게 Bridge까지 마쳤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스타게이트 파이낸스에서 실시했지만 거의 대부분의 지갑이 브릿지 기능을 지원합니다.

메타마스크에서 지원하는 브릿지입니다.

위 화면은 저의 Phantom 지갑에서 BONK 라는 코인을 누른 화면입니다. 위의 스왑 버튼을 누르면 브릿지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거의 비슷하죠?
이것으로 브릿지 섹션을 모두 마치고, 다음시간부터는 핫한 토픽인 NF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I. 블록체인 시작하기 > [5] 브릿지(Brid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장. 브릿지의 정의와 예시 (1) | 2024.03.2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