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요약

  • 블록체인 자료구조 형성하는 것에 도움을 주면 받는 것이 코인이다
  • 코인을 받기 위해 Web3 세상에서 구현된 지갑(Wallet)이라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다.

 

Intro

지난 1장에서는 Web3가 이전 인터넷 규약인 Web1, Web2와 어떤 것이 다른지, 그리고 블록체인이라는 자료구조가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배웠습니다. Web3는 읽기, 쓰기에 더불어 소유 라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개념이었고, 이를 탈중앙화 자료구조인 블록체인을 통해 구현해볼 수 있다고 했는데, 직관적으로는 이 두 요소가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이번 장에서는 Web3로 구분되는 특징인 '소유'를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어떻게 구현하는지에 대해서 살펴볼 것입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블록체인이라는 자료구조를 왜 사용해야 하는가?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블록체인 보상

블록체인의 가장 큰 특징인 탈중앙화와 변경 불가능한 부분은 사용자들의 검증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그런데, 사용자들이 들어온 데이터에 대해서 검증하는 과정을 공짜로 해줄 리가 없습니다. 이를 해결하고자 만든 유인책이 바로 보상(reward)라는 개념입니다.

블록체인 보상(Reward)의 정의

블록체인 보상은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암호화폐 채굴자가 네트워크에 승인된(=새롭게 들어온 데이터) 트랜잭션(transaction, 데이터와 같은 말)을 추가하기 위해 지급하는 대가

위에서 말하는 대가는 토큰(Token)이라고 불리는 어떤 단위로 지급됩니다. 그것이 금융기관을 통해 거래가 가능하다면 암호화페(cryptocurrency or coin) 라고 부르게 됩니다.

보상의 여러가지 종류

(채굴 방식에 따라 PoW, PoS, DPoS, PoH 등 매우 다양하게 존재한다.)
가장 대표적으로 알려진 보상 중 하나인 비트코인은 어려운 수학적 퍼즐을 풀고 네트워크에 연산 능력을 추가하는 것, 그리고 분산원장이라고 불리는 모든 이용자들이 접근 가능한 트랜잭션 데이터가 블록을 형성하여 새로 올라갈 때 무결성을 유지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에게 지급되는 것입니다. 비트코인을 채굴한다는 것은 블록체인 자료구조 형성에 기여하는 것에 대해 보상으로 비트코인을 얻겠다는 것과 같은 말이 되는 겁니다.
비트코인 뿐만 아니라 위의 사진처럼 보통 알고 있는 이더리움, 솔라나 등 대부분의 코인은 각기 다른 블록체인의 구조를 갖고 있고, 이를 형성하는 데 기여했을 시 받게되는 보상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보상은 어디에 넣어?

블록체인을 형성하는 데에 도움을 주면 보상을 받는다고 했습니다. 이 보상을 받기 위해서는 결정적으로 '나'라는 존재를 증명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미 우리가 사는 세상에서는 '나'를 증명하는 수단이 정말 다양합니다. 가장 대표적으로는 법정신분증인 주민등록증이나 운전면허증이 있을 수 있고, 대학생이라면 학생증, 직장인이라면 사원증 등 어떤 것을 증명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그 수단과 갈래는 다양합니다. 그렇다면 블록체인 세상에서는 어떨까요?

블록체인을 형성하도록 많은 사람들을 모으기 위해서는 당연히 보상을 두둑히 주면 됩니다. 달리 말하면, 블록체인이 돌아가기 위한 핵심 원동력은 보상이고, 이 보상을 지급해줄 수 있는 창구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 활용하는 것이 바로 지갑(Wallet) 입니다.

지갑(Wallet)

블록체인에서 말하는 지갑이 바로 보상의 창구입니다. Web3 세상에서 '나'라는 사용자를 증명하기 위한 회원가입의 결과물이 지갑이고, 지갑을 통해 Web3 세계에서 '나'는 누구다! 라고 말할 수 있게 됩니다. 여기서는 현실 세계에서의 신분증이나 이름 대신 주소(Address) 라는 것을 통해 정체성을 확립받을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 세상에서 주소는 아래와 같이 생겼습니다. (아래 주소는 이더리움 블록체인 상에서 거래내역을 보여주는 사이트인 etherscan.io 에서 아무거나 가져왔습니다)

0x5b78D3D59E8A098aA8f2700E38fDBdAbf9027659

(지갑은 위처럼 온라인 형태, 페이퍼 형태, 모바일 형태, 데스크탑 형태, 하드웨어 형태로 다양하다. 주로 google extension 따위로 이루어진 online wallet을 가장 자주 사용하는 듯 하다)

이 지갑이라는 것을 통해서 블록체인이 실제로 어떻게 생긴 자료구조인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위의 예시로 말씀드렸던 지갑 주소가 어떤 거래들를 해왔는지 확인해봅시다. 이를 위해서는 아래 사이트에 접속하면 됩니다.

https://etherscan.io/address/0x5b78d3d59e8a098aa8f2700e38fdbdabf9027659

해당 링크에 들어가시면 위와 같은 모습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From 열에 "어디서 받았는가"에 대해 나와있고, To 열에는 모두 같은 지갑주소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어떤 암호화폐가 거래되었는지, 거래 수수료(Txn Fee)는 얼마였는지 모두 확인할 수 있습니다. Block 열을 보시면 최근에 발생한 것일수록 숫자가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것이 바로 블록체인에 계속해서 블록이 연결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렇듯, 해당 지갑 주소 자체가 '나'가 됩니다. 로그인을 하는 과정에서 그 어떤 개인정보도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이 지갑의 주인이 누구인지, 이름은 무엇인지, 국적은 어디인지 전혀 알 수 없습니다만, 이 지갑주소 자체가 하나의 개인으로 기능하게 되는 것입니다.

지갑은 모바일 어플이나 구글, 파이어폭스, 엑지 브라우저 등의 확장 프로그램을 통해 다운받고 설치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지갑의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는 메타마스크(Metamask), 팬텀(Phantom), 솔플레어(Solflare) 등이 있습니다. 이 어플리케이션은 저희가 약속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지갑 로그인을 도와주는 것들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지갑을 만드는 방법과 용어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서 다루어보겠습니다!

반응형

'I. 블록체인 시작하기 > [1] 웹3(Web3)'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장. 블록체인의 정의와 Web3  (2) 2024.02.26

+ Recent posts